com/pagead/js/adsbygoogle.js">
'대구' 태그의 글 목록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9번. 거푸집 및 거푸집지보공의 해체공사에 대한 안전대책을 설명하시오.
지도사3회9번. 거푸집 및 거푸집지보공의 해체공사에 대한 안전대책을 설명하시오. 1, 개요 거푸집 및 지보공(동바리)은 소정의 강도와 강성을 가지는 동시에 완성된 구조물의 위치, 형상, 치수가 정확하게 확보되어 목적 구조물 조건의 콘크리트가 되도록 설계도에 의해 시공하여야 한다. 2. 거푸집 및 지보공(동바리) 작용 하중 종류 1) 연직방향 하중 거푸집, 지보공(동바리), 콘크리트, 철근, 작업원, 타설용 기계기구, 가설설비등의 중량 및 충격하중 2) 횡방향 하중 작업할때의 진동, 충격, 시공오차 등에 기인되는 횡방향 하중이외에 필요에 따라 풍압, 유수압, 지진 등 3) 콘크리트의 측압 :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측압 4) 특수하중 : 시공중에 예상되는 특수한 하중 5) 상기 1∼4호의 하중에 안전율을 고려..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3번. 토사사면과 암반사면의 붕괴형태
지도사3회3번. 토사사면과 암반사면의 붕괴형태 1. 개 요 1) 토사사면의 붕괴형태는 무한사면과 유한사면으로 구분하고 단순 쐐기파괴 및 원형파괴 형태를 띠고 있고, 2) 암반사면의 붕괴형태는 사면 발달과 불연속면의 발달 상태에 따라서 원형파괴, 평면파괴, 쐐기파괴 및 전도파괴로 구분된다. 2. 토사사면 붕괴형태 토사 사면의 붕괴는 토질따라 변화, 비점착성 성토로된 사면은 평면활동면, 점착성토질로 된 사면은 곡면활동면의 경우 많음 그러나 대부분 원호파괴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1) 무한사면 붕괴 - 점성없는 사질토지반 - 기반암위 잔류토 2) 유한사면 붕괴 - 단순쐐기 : 단층, 연약대, 매립사면 - 암괴,쐐기 : 관입 퇴적암의 풍화대, 점토 혈암, 견고한 균열점토 - 원호파괴 : 균질등방사면이나 성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