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gead/js/adsbygoogle.js"> '대구'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대구

(38)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9번. 거푸집 및 거푸집지보공의 해체공사에 대한 안전대책을 설명하시오. 지도사3회9번. 거푸집 및 거푸집지보공의 해체공사에 대한 안전대책을 설명하시오. 1, 개요 거푸집 및 지보공(동바리)은 소정의 강도와 강성을 가지는 동시에 완성된 구조물의 위치, 형상, 치수가 정확하게 확보되어 목적 구조물 조건의 콘크리트가 되도록 설계도에 의해 시공하여야 한다. 2. 거푸집 및 지보공(동바리) 작용 하중 종류 1) 연직방향 하중 거푸집, 지보공(동바리), 콘크리트, 철근, 작업원, 타설용 기계기구, 가설설비등의 중량 및 충격하중 2) 횡방향 하중 작업할때의 진동, 충격, 시공오차 등에 기인되는 횡방향 하중이외에 필요에 따라 풍압, 유수압, 지진 등 3) 콘크리트의 측압 :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측압 4) 특수하중 : 시공중에 예상되는 특수한 하중 5) 상기 1∼4호의 하중에 안전율을 고려..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7번.건설현장에서 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화재발생유형과 예방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지도사3회7번 건설현장에서 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화재발생유형과 예방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 1) 현장내에서 난방기구 및 전열기구 과열과 현장 내에서 피우던 불이 다른 장소로 번져 화재 발생이 되며, 용접․그라인딩, 절단 작업 시 발생하는 불티에 의한 화재도 발생하고 있다 2) 화재발생 유형은 전기, 유류, 도장, 단열, 용접․용단 및 가설숙소 부주의로 인한 원인으로 발생하고 있다 2. 화재의 특성 1) 최근 화재․폭발사고는 용접․용단 작업 시 주로 발생하여 대형사고화 2) 특정시기에 국한되지 않으나 난방 등을 위해 화기․전열기구 취급이 증가하는 동절기에 위험이 커짐 3. 현장 화재원인(유형) 1) 전기화재 2) 유류화재/가연성 3) 도장작업/아스팔트/단열 4) 용접/용단 5) 가설숙소 부주의..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6번.콘크리트 공사에서 거푸집과 동바리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하중과 구조검토사항을 설명하시오 지도사3회6번. 콘크리트 공사에서 거푸집과 동바리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하중과 구조검토사항을 설명하시오 1. 개요 1) 콘크리트 공사에서 콘크리트 타설 및 지보공에서 안전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그 사유 가운데 거푸집 및 동바리에 있엇 적정한 하중, 응력, 단면계산이 부족하고 이에 따른 조립도가 작성되지 않아 콘크리트 타설 중 붕괴로 이어지고 있다. 2) 공사 시공 전에 하중과 응력, 단면계산을 통하여 조립도를 작성하여 이를 토대로 시공함으로쏘 안전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 2. 구조검토 순서 󰀻 하중계산 가설물에 작용하는 하중 및 외력의 종류, 크기를 산정함 󰀻 응력계산 하중․외력에 의하여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을 구함 󰀻 단면계산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에 대하여 안전한 단면을 결정함 󰀻 조..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5번. 지진에 저항하는 구조의 형태 3가지와 그 의미를 간단히 쓰시오 지도사3회5번. 지진에 저항하는 구조의 형태 3가지와 그 의미를 간단히 쓰시오 1. 개요 1) 최근 건축물이 고층화, 대형화됨에 따라 과거의 건축물에서는 무시되어 오던 내진설계에 대한 필요성이 서서히 부각되고 있다. 2) 최근에는 지진이 자주 발생하던 일본 이외에도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도 지진 피해가 잇따르고 있어 건축물의 내진설계는 고층․대형 건축물에만 제한되지 않고 중규모의 건축물에도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3) 지진에 저항하는 구조는 내진구조, 면진구조와 제진구조로 구분할 수 있다. 시설의 경제성, 내구성, 시공성 등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합한 구조형식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2. 지진에 저항하는 구조형태 1) 내진구조 ① 지진은 그 규모가 클 경우 벽이나 기둥, 바닥 등에 손상을 가하므로 이들 자..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4번.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근로자 준수사항 5가지를 쓰시오 지도사3회4번. 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근로자 준수사항 5가지를 쓰시오 1. 개요 1) 사업주는 크레인을 사용하여 근로자를 운반하거나 근로자를 달아 올린 상태에서 작업에 종사시켜서는 아니 된다. 2) 그러나, 크레인에 전용 탑승설비를 설치하고 추락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① 탑승설비가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할 것 ② 안전대나 구명줄을 설치하고, 안전난간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인 경우에는 안전난간을 설치할 것 ③ 탑승설비를 하강시킬 때에는 동력하강방법으로 할 것 3) 사업주는 이동식 크레인을 사용하여 근로자를 운반하거나 근로자를 달아 올린 상태에서 작업에 종사시켜서는 아니 된다. 2. 근로자 준수사항 사업주..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3번. 토사사면과 암반사면의 붕괴형태 지도사3회3번. 토사사면과 암반사면의 붕괴형태 1. 개 요 1) 토사사면의 붕괴형태는 무한사면과 유한사면으로 구분하고 단순 쐐기파괴 및 원형파괴 형태를 띠고 있고, 2) 암반사면의 붕괴형태는 사면 발달과 불연속면의 발달 상태에 따라서 원형파괴, 평면파괴, 쐐기파괴 및 전도파괴로 구분된다. 2. 토사사면 붕괴형태 토사 사면의 붕괴는 토질따라 변화, 비점착성 성토로된 사면은 평면활동면, 점착성토질로 된 사면은 곡면활동면의 경우 많음 그러나 대부분 원호파괴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1) 무한사면 붕괴 - 점성없는 사질토지반 - 기반암위 잔류토 2) 유한사면 붕괴 - 단순쐐기 : 단층, 연약대, 매립사면 - 암괴,쐐기 : 관입 퇴적암의 풍화대, 점토 혈암, 견고한 균열점토 - 원호파괴 : 균질등방사면이나 성토 -..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2번. 철근의 인장강도 시험으로 얻어지는 응력-변형률 곡선 지도사 3회 2번 철근의 인장강도 시험으로 얻어지는 응력-변형률 곡선 1, 개요 철근의 기계적인 성질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장 시험을 실시하여 공시체(철근)의 응력과 변형도와의 관계를 직각좌표에 나타낸 곡선을 응력 변형도 곡선(Stress-strain Curve)이라 한다. 2. 철근의 종류 철근은 콘크리트 보강용으로 사용되는 봉강으로 KSD 3504(철근콘크리트용 봉강)에 규정되어 있다. 철근은 열간압연으로 제조되며 형태에 따라 원형철근과 이형철근으로 나뉜다. 1) 원형철근 가공성은 우수하나 부착성이 낮아 기둥의 나선 보강용 이외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으며 표기는 다음과 같다. ø10 (10㎜) 2) 이형철근 부착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원형 단면의 둘레에 돌기가 있도록 제조된 철근으로 길이방향의 돌기를 리브..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 4회4번. 항타기 및 항발기의 도괴방지 5가지를 쓰시오 지도사 4회4번. 항타기 및 항발기의 도괴방지 5가지를 쓰시오 개요(도괴의 방지) 사업주는 동력을 사용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하여 도괴(倒壞)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약지반에 깔판 설치 등 몇가지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그 방법에 있어서는 연약지반 침하 방지, 시설․가설물 등에 설치할 경우 내력 확인 등의 조치를 취하여 항타기 및 항발기가 도괴가 되지않도록 해야한다. 2. 도괴방지 5가지 ① 연약한 지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부(脚部)나 가대(架臺)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깔판·깔목 등을 사용할 것 ② 시설 또는 가설물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내력을 확인하고 내력이 부족하면 그 내력을 보강할 것 ③ 각부나 가대가 미끄러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말뚝 또는 쐐기 등을 사용하여 각부나 가대를 고정시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