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gead/js/adsbygoogle.js">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7번.건설현장에서 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화재발생유형과 예방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본문 바로가기

취미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7번.건설현장에서 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화재발생유형과 예방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지도사37

건설현장에서 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화재발생유형과 예방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개요

1) 현장내에서 난방기구 및 전열기구 과열과 현장 내에서 피우던 불이 다른 장소로 번져 화재 발생이 되며,

   용접그라인딩, 절단 작업 시 발생하는 불티에 의한 화재도 발생하고 있다

2) 화재발생 유형은 전기, 유류, 도장, 단열, 용접용단 및 가설숙소 부주의로 인한 원인으로 발생하고 있다

 

2. 화재의 특성

1) 최근 화재폭발사고는 용접용단 작업 시 주로 발생하여 대형사고화

2) 특정시기에 국한되지 않으나 난방 등을 위해 화기전열기구 취급이 증가하는 동절기에 위험이 커짐

 

3. 현장 화재원인(유형)

1) 전기화재

2) 유류화재/가연성

3) 도장작업/아스팔트/단열

4) 용접/용단

5) 가설숙소 부주의

 

4.화재종류

  1)A; 고체연료

  2)B; 액체연료

  3)C; 전기

  4)D; 가연성금속

 

5. 화재폭발관련 대형재해사례

1) 진접선 복선전철 현장

    기존 교량기초 하부 구조물 벽체 철근조립 작업 중 굴착된 공간에 누출된 LP가스 폭발로 4명이 사망, 10명 부상

2) 지하층 배관 절단작업

    비산불티가 시너 유증기에 점화, 우레탄폼에 착화되어 화재가 발생하여, 작업 중이던 근로자들이 유독가스에

    중독 등 으로 인하여 4명시 사망, 2명 부상

 

6. 안전대책

1) 비상출입구 확보, 유도등 설치, 교육훈련 및 방화순찰

2) 응급소화, 소화기구 및 장비 확보

3) 급배수용수 확보

4) 용접, 그라인딩 절단 작업 시 발생 불티에 의한 화재 예방

   ① 주변 위험물질 및 가연물 제거

   ② 천정 작업 시 불티 낙하 주의

   ③ 불티비산 방지덮개, 용접 방화포 설치

   ④ 잔류가스 정체 위험장소에서 용접 및 절단 작업 시 환기팬 가동

   ⑤ 화재 취약 마감재(우레탄폼, 샌드위치판넬, 스치로폼 등)를 사용 확인

5) 전기로 인한 화재

   ① 퓨즈나 과전류 차단기는 반드시 정격용량 제품 사용

   ② 누전차단기 설치

   ③ 한 콘센트에 여러 개 플러그를 꽂는 문어발식 사용 금지

   ④ 사용한 전기기구는 반드시 플러그 뽑기

   ⑤ 정전기 발생예방을 위한 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