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사3회6번.
콘크리트 공사에서 거푸집과 동바리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하중과 구조검토사항을 설명하시오
1. 개요
1) 콘크리트 공사에서 콘크리트 타설 및 지보공에서 안전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그 사유 가운데 거푸집 및 동바리에 있엇 적정한 하중, 응력, 단면계산이 부족하고 이에 따른 조립도가 작성되지 않아 콘크리트 타설 중 붕괴로 이어지고 있다.
2) 공사 시공 전에 하중과 응력, 단면계산을 통하여 조립도를 작성하여 이를 토대로 시공함으로쏘 안전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
2. 구조검토 순서
하중계산 가설물에 작용하는 하중 및 외력의 종류, 크기를 산정함
응력계산 하중․외력에 의하여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을 구함
단면계산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에 대하여 안전한 단면을 결정함
조립도작성 사용부재의 재질, 간격, 접합방법, 연결철물 등을 기재함
3. 거푸집동바리 구조계산 방법(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
o 거푸집 및 동바리 계산에 사용하는 연직방향 설계하중은 고정하중, 충격하중(고정하중의 50%), 작업하중(150 kgf/㎡=15Mpa)를 적용.
W= 고정하중 + 충격하중 + 작업하중
= γ․t + 0.5γt + 150kg/㎡ γ : 철근콘크리트 단위중량 (kg/㎡)
= 1.5γt + 150kg/㎡(=15Mpa) t : 슬라브 두께 (m)
여기서, γ = 철근 콘크리트의 단위중량(kgf/㎥=2,400kgf/㎥=240Mpa)
t = 슬래브 두께
다만, 충격하중 및 작업하중을 합한 값이 250kgf/㎡=25Mpa 이상.
o 동바리에 작용하는 횡방향 하중으로는 고정하중의 2%이상 또는 동바리 상단의 수평방향 단위 길이당 150kgf/m 이상 중에서 큰 쪽의 하중이 동바리 머리부분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옹벽과 같은 거푸집의 경우에는 거푸집 측면에 대하여 50kgf/㎥이상의 횡방향 하중이 작용하는 것으로 본다. 그밖에 바닥이나 유수의 영향을 크게 받을 때에는 별도로 이들을 고려하여야 함.
o 장선과 장선 사이 거푸집널의 허용처짐량은 0.3cm 이하로 한다. 다만, 표면 마무리의 평탄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0.1∼0.2cm 이하로한다.
'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8번. 최신설계기법(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이 건설안전기술에 미치는 영향과 활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0.07.29 |
---|---|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7번.건설현장에서 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화재발생유형과 예방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 2020.07.29 |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5번. 지진에 저항하는 구조의 형태 3가지와 그 의미를 간단히 쓰시오 (0) | 2020.07.29 |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4번.크레인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근로자 준수사항 5가지를 쓰시오 (0) | 2020.07.29 |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3번. 토사사면과 암반사면의 붕괴형태 (0) | 2020.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