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gead/js/adsbygoogle.js">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6번.콘크리트 공사에서 거푸집과 동바리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하중과 구조검토사항을 설명하시오
본문 바로가기

취미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6번.콘크리트 공사에서 거푸집과 동바리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하중과 구조검토사항을 설명하시오

지도사36.

콘크리트 공사에서 거푸집과 동바리 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하중과 구조검토사항을 설명하시오

 

1. 개요

1) 콘크리트 공사에서 콘크리트 타설 및 지보공에서 안전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그 사유 가운데 거푸집 및 동바리에 있엇 적정한 하중, 응력, 단면계산이 부족하고 이에 따른 조립도가 작성되지 않아 콘크리트 타설 중 붕괴로 이어지고 있다.

2) 공사 시공 전에 하중과 응력, 단면계산을 통하여 조립도를 작성하여 이를 토대로 시공함으로쏘 안전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

2. 구조검토 순서

󰀻

하중계산 가설물에 작용하는 하중 및 외력의 종류, 크기를 산정함

󰀻

응력계산 하중외력에 의하여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을 구함

󰀻

단면계산 각 부재에 생기는 응력에 대하여 안전한 단면을 결정함

󰀻

조립도작성 사용부재의 재질, 간격, 접합방법, 연결철물 등을 기재함

 

3. 거푸집동바리 구조계산 방법(콘크리트공사 표준시방서)

 

o 거푸집 및 동바리 계산에 사용하는 연직방향 설계하중은 고정하중, 충격하중(고정하중의 50%), 작업하중(150 kgf/=15Mpa)를 적용.

 

W= 고정하중 + 충격하중 + 작업하중

= γ․t + 0.5γt + 150kg/㎡ γ : 철근콘크리트 단위중량 (kg/)

= 1.5γt + 150kg/(=15Mpa) t : 슬라브 두께 (m)

여기서, γ = 철근 콘크리트의 단위중량(kgf/=2,400kgf/=240Mpa)

t = 슬래브 두께

다만, 충격하중 및 작업하중을 합한 값이 250kgf/=25Mpa 이상.

 

o 동바리에 작용하는 횡방향 하중으로는 고정하중의 2%이상 또는 동바리 상단의 수평방향 단위 길이당 150kgf/m 이상 중에서 큰 쪽의 하중이 동바리 머리부분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옹벽과 같은 거푸집의 경우에는 거푸집 측면에 대하여 50kgf/이상의 횡방향 하중이 작용하는 것으로 본다. 그밖에 바닥이나 유수의 영향을 크게 받을 때에는 별도로 이들을 고려하여야 함.

 

o 장선과 장선 사이 거푸집널의 허용처짐량은 0.3cm 이하로 한다. 다만, 표면 마무리의 평탄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0.10.2cm 이하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