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gead/js/adsbygoogle.js">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8 Page)
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77)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8회9번. 건설현장에서 건설기계 작업 시 발생되는 사고와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쓰시오. 8-9. 건설현장에서 건설기계 작업 시 발생되는 사고와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쓰시오. 1) 충돌 발생원인 2) 전도 발생원인 3) 추락 발생원인 4) 낙하ㆍ비래 발생원인 5) 감전 발생원인 1. 건설기계장비로 인한 재해발생 주요 원인 O 사전 작업계획 수립 미흡 O 작업방법 부적합, 관리자의 부적절한 지시 O 안전관리 수칙 불이행, 작업반경 내 출입 O 운전조작 미흡 및 과도한 조작 등 운전부주의 O 작업장소 및 건설장비 설치 상태 불량 O 정비 및 수리의 결함 O 작업자 상호간의 신호, 연락, 협의 불충분 2. 충돌 발생원인 ► 작업지위자 관리 소홀 - 장비 근접작업에 따른 작업계획 미수립 - 유도자(신호수) 미배치 - 작업반경 내 출입금지 조치 미실시 ► 운전자 - 운전미숙 및 주변 현황 확인 미흡 ..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8회8번. 건축물 외벽에 설치하는 금속 커튼월의 설치 시 안전조치 사항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8-8. 건축물 외벽에 설치하는 금속 커튼월의 설치 시 안전조치 사항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건설안전기술사 기출 117-1-9 커튼월(Curtain Wall) 구조의 요구성능과 시험방법] 1. 개 요 1) 커튼월은 공장생산 부재로 구성되는 비내력벽이며 구조체의 외벽에 고정철물을 사용하여 부착시킨 것으로 초고층 건물에 많이 사용 2) 컨튼월은 크게 재료별, 외관형태별, 구조방법별, 조립공법별로 구분한다 3) 요구성능은 강도 등이며 시험의 목적은 커튼월 공사가 시작되기 전 건축물의 준공 후에 예상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설계․시공 상의 문제점을 수정․보완하는데 있다 2. 커튼월의 요구 성능 1) 차음성 2) 강도 3) 층간변위 추종성 4) 내풍압성 5) 기밀성 6) 결로 방지 7) 시공성 8) 경제성 9) 내..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8회7번. 골조공사 철근작업 중 발생하는 사고와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쓰시오. 8-7. 골조공사 철근작업 중 발생하는 사고와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쓰시오. 1) 철근 운반 시 안전사고 발생원인 - 인력운반 - 기계운반 2) 철근 가공 시 안전사고 발생원인 3) 철근 조립 시 안전사고 발생원인 4) 철근작업 중 안전대책 [건설안전기술사 기출118-3-2 건설현장에서 철근의 가공, 조립 및 운반 시의 준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철근 반입 1) 공 정 철근 제작공장으로부터 운반트럭에 철근을 싣고 철근을 설치할 건설 현장에 반입하여 철근 야적장에 하역 및 적재하는 공정 2) 유해위험 요인 지게차 운전원의 운전 미숙으로 철근 하역 중 부딪힘 철근 하역 중 철근이 주변 구조물에 부딪히면서 철근이 떨어짐 철근 적재용 받침대가 부러지면서 철근 떨어짐 지게차 후면에 경광등 미설치로 후진..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8회6번. 건축골조공사 갱폼해체 및 반출작업 시 위험성 평가의 위험요인과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쓰시오. 8-6. 건축골조공사 갱폼해체 및 반출작업 시 위험성 평가의 위험요인과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쓰시오. 1. 개요 갱폼이란 대형 패널폼에 작업용 비계 및 작업발판을 일체화 시켜서 거푸집 설치와 해체를 용이하게 하고 성력화 시킨 시스템 폼으로 일반적으로 크레인을 사용하여 인양 및 해체작업을 한다. 갱폼 작업시에는 갱폼을 인양하고 해체하는 단계에서 갱폼이 낙하하는 재해, 갱폼상에서 이동 중 추락 등의 재해가 발생된다. 2. 4M 1) 인적요인 ▶ 위험요인 안전모 등 개인보호구 미착용하고 부딪히거나 추락 작업자가 무리하게 갱폼 밖으로 나가 프레임을 밟고 승강중 추락 ▶ 안전대책 갱폼 인양, 설치 근로자는 안전모, 안전대 등 개인보호구 착용 철저 관리감독자 배치하여 근로자가 불안전한 행동하지 않도록 지휘감독 2)..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8회5번. 콘크리트 타설 시 철근하부의 수막(水膜)현상 방지대책 5가지를 쓰시오 8-5. 콘크리트 타설 시 철근하부의 수막(水膜)현상 방지대책 5가지를 쓰시오 개요 철근콘크리트 단면에서 철근이 상부, 하부근이 배근되며, 그 철근의 하부가 다짐이 잘못되거나 콘크리트 골재의 자중 등에 의한 침하로 인하여 미세한 공극이 발생하며 이 공극이 철근 수막현상의 원인이 됨 또한, 과다하게 녹슨 철근을 사용하면 콘크리트 타설 시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녹이 탈락함에 따라 그 공극에 물이 채워져 수막현상이 발생되며 이 것이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 저하로 이어져 철근콘크리트 균열의 원인이 됨. 2. 수막현상 방지대책(소성침하 균열 방지) ⑴ 발생원인 콘크리트의 타설․마감작업이 종료된 후에도 콘크리트는 자중에 의하여 계속 압밀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소성상태의 콘크리트는 철근이나 거푸집, 골재 ..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8회4번. 건설기술진흥법령상 가설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확인 사항 5가지를 쓰시오. 8-4. 건설기술진흥법령상 가설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확인 사항 5가지를 쓰시오. 건설기술진흥법 제62조(건설공사의 안전관리) ① 건설사업자와 주택건설등록업자는 안전점검 및 안전관리조직 등 건설공사의 안전관리계획(이하 "안전관리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고, 착공 전에 이를 발주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 경우 발주청이 아닌 발주자는 미리 안전관리계획의 사본을 인ㆍ허가기관의 장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아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라 안전관리계획을 제출받은 발주청 또는 인ㆍ허가기관의 장은 안전관리계획의 내용을 검토하여 그 결과를 건설사업자와 주택건설등록업자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③ 발주청 또는 인ㆍ허가기관의 장은 제1항에 따라 제출받아 승인한 안전관리계획서 사본과 제2항에 따른 검토결과를 국토교통부장..
산업안전지도사 2차8회3번. 기초지반의 하중-침하 거동에서 파괴의 종류 3가지를 쓰시오. 얕은기초 1. 얕은 기초의 분류 1)확대기초 : 상부하중을 넓게 분포시키지 위해 밑면을 확대시킨 기초형태 가. 독립푸팅 : 1개 기둥만 지지 나. 복합푸팅 : 2개 또는 그 이상 기둥지지 다. 연속푸팅 : 띠모양 긴후팅 라. 캔틸레버식 푸팅 : 2개의 푸팅을 Tie Beam으로 연결 2)전면기초 가. 단일 Mat로 지지하는 형식, 일반적으로 푸팅기초의 전면적이 커져서 합계가 시공면적의 50%를 초과시 2. 전단파괴의 형태 1)전반전단파괴 하중증가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어느 하중에 이르러 갑자기 파괴, 침하 증가 파괴 : 단단 지반 발생 가. 압축낮은 흙, 조밀 고결 지반에서 발생 : Dense Sand, Stiff Clay 나. 4~10% 침하 범위에서 발생 (소성평형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의 침하가..
산업안전지도사 3차8회2번. 암반분류법 중 Q-System(Q-분류법)의 요소 5가지를 쓰시오. 8-2. 암반분류법 중 Q-System(Q-분류법)의 요소 5가지를 쓰시오. Q-분류법 1. 개요 1)스칸디나비아에 있는 200개의 터널을 조사해서 개발된 정량적인 암반분류법 2)터널보강공법 선정할 수 있는 Engineering system으로서, 암석의 RQD, 절리set수(Jn), 절리면의 roughness(Jr), 절리면의 풍화정도(Ja),지하수상태(Jw), stress reduction factor(SRF) 6개 parameter를 이용하여 등급을 매겨 전체암반 상태를 Q로 하여 암반을 분류하는 방법 즉 Q= RQD* Jr * Jw / Jn * Ja * SRF 3)①항은 암반을 형성하는 블럭의 크기 ②항은 절리의 전단강도 ③항은 active stress 4)계산된 Q값에 의하여 암반의 보강방법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