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 콘크리트 타설 시 철근하부의 수막(水膜)현상 방지대책 5가지를 쓰시오
개요
철근콘크리트 단면에서 철근이 상부, 하부근이 배근되며, 그 철근의 하부가 다짐이 잘못되거나 콘크리트 골재의 자중 등에 의한 침하로 인하여 미세한 공극이 발생하며 이 공극이 철근 수막현상의 원인이 됨
또한, 과다하게 녹슨 철근을 사용하면 콘크리트 타설 시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녹이 탈락함에 따라 그 공극에 물이 채워져 수막현상이 발생되며
이 것이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 저하로 이어져 철근콘크리트 균열의 원인이 됨.
2. 수막현상 방지대책(소성침하 균열 방지)
⑴ 발생원인
콘크리트의 타설․마감작업이 종료된 후에도 콘크리트는 자중에 의하여 계속 압밀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소성상태의 콘크리트는 철근이나 거푸집, 골재 등에 의해 국부적으로 제재를 받게 되는데, 이때 철근이나 거푸집, 골재의 하부에 블리딩수가 모이거나 공극이 발생하게 된다. 건조에 따라 이러한 공극은 상부에 인장응력으로 발생하여 균열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러한 균열은 철근의 직경이 클수록, 슬럼프가 커질수록 많이 발생하게 되며,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시공할 때 진동다짐을 충분하게 하지 않았을 경우 또는 변형을 일으키기 쉬운 거푸집 재료를 사용할 경우에도 많이 발생한다.
⑵ 방지대책
균열의 발생형태는 철근 상부의 종방향으로 나타나며, 폭은 1㎜ 이상일 수도 있으나 깊이는 대체로 작다. 소성침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① 콘크리트의 침하가 완료되는 시간까지 타설간격 조정
② 콘크리트 재다짐
③ 충분한 다짐과 거푸집 설계에 유의
④ 수직부재일 경우에는 가능한 한 1회 콘크리트의 타설높이를 낮추고 충분한 다짐을 실시하도록 해야 한다.
⑤ 철근 표면 관리
콘크리트를 칠 때 철근의 표면에는 부착을 저해하는 흙, 기름 또는 비금속 도막이 없어야 한다. KDS 14 20 01(3.2.1(5))에 규정한 에폭시 도막철근은 사용할 수 있다.
긴장재를 제외하고 철근의 녹이나 가공 부스러기 또는 그 조합은 KS D 3504에서 요구하고 있는 마디의 높이를 포함하는 철근의 최소 치수와 중량에 미달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거할 필요는 없다.
긴장재의 표면은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하며 기름, 먼지, 가공 부스러기, 흠집 및 과도한 녹이 없어야 한다. 다만, 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미한 녹은 허용할 수 있다.
'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8회7번. 골조공사 철근작업 중 발생하는 사고와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쓰시오. (0) | 2020.06.09 |
---|---|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8회6번. 건축골조공사 갱폼해체 및 반출작업 시 위험성 평가의 위험요인과 관련하여 다음 사항을 쓰시오. (0) | 2020.06.09 |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8회4번. 건설기술진흥법령상 가설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확인 사항 5가지를 쓰시오. (0) | 2020.06.05 |
산업안전지도사 2차8회3번. 기초지반의 하중-침하 거동에서 파괴의 종류 3가지를 쓰시오. (0) | 2020.05.31 |
산업안전지도사 3차8회2번. 암반분류법 중 Q-System(Q-분류법)의 요소 5가지를 쓰시오. (0) | 2020.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