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 (74) 썸네일형 리스트형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4회5번. 건축물의 부동침하의 발생원인 5가지를 쓰시오 지도사 4회5번. 건축물의 부동침하의 발생원인 5가지를 쓰시오 1) 개요 : 기초지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서 불균등 침하가 발생하는 현상 2) 발생원인 ① 이질지반 - 한쪽은 암반(풍화암, 연․경암) 노출 지반이며, 다른 한쪽은 토사(점토질, 실트질, 사질 지반) - 침하양상이 다르므로 부동침하 발생 ② 지지력 부족 - 작용하중이 허용지지력보다 초과 - 잡석 등 치환조치 필요 ③ 연약지반 - 점성도 N(표준관입저항)치 4이하, 사질지반 N치 10이하 연약지반 - 침하양상이 서로 다름 ④ 경사지반 - 지지 지반(암반)이 경사로 하중 편심작용 - 계단식에 의한 기초지반 수평 ⑤ 다른기초 - 한쪽은 직접기초, 다른 한쪽은 전면기초 ⑥ 지하수위 변동 - 지하수위 저하, 상승에 의한 지반 유효응력 변화 ⑦ 증..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 4회4번. 항타기 및 항발기의 도괴방지 5가지를 쓰시오 지도사 4회4번. 항타기 및 항발기의 도괴방지 5가지를 쓰시오 개요(도괴의 방지) 사업주는 동력을 사용하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에 대하여 도괴(倒壞)를 방지하기 위하여 연약지반에 깔판 설치 등 몇가지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그 방법에 있어서는 연약지반 침하 방지, 시설․가설물 등에 설치할 경우 내력 확인 등의 조치를 취하여 항타기 및 항발기가 도괴가 되지않도록 해야한다. 2. 도괴방지 5가지 ① 연약한 지반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부(脚部)나 가대(架臺)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깔판·깔목 등을 사용할 것 ② 시설 또는 가설물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내력을 확인하고 내력이 부족하면 그 내력을 보강할 것 ③ 각부나 가대가 미끄러질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말뚝 또는 쐐기 등을 사용하여 각부나 가대를 고정시킬..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 4회3번. 토공작업시 흙의 상태에 따른 토량환산계수와 토량변화율에 대하여 쓰시오 지도사 4회3번. 토공작업시 흙의 상태에 따른 토량환산계수와 토량변화율에 대하여 쓰시오 1. 개 요 건설공사에서 깍기, 쌓기 및 흙운반의 토공작업은 공사 목적물을 설치하기 위해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공종이다. 그러나 지반은 오랜세월 퇴적 또는 형성된 원지반 상태와 이를 굴착하여 흐트러진 상태, 교통하중 등 상재하중에 대해 지탱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다져진 상태 등 굴착에서 운반, 다짐까지 토량이 변화하므로 토량환산계수 등을 적용하여 가중치를 두어 경비를 계산하거나 토량변화율로 흙이 남거나 부족한 상태인가를 판별한다. 2. 토량환산계수(f) : 토량 작업시 기준이 되는 흙의 상태로 환산한 값 1) 굴착, 적재, 운반 토량 : 흐트러진 상태의 토량 2) 토공 장비의 작업량 계산 : 흐트러진 상태의 토량 3)..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4회2번. 철골 가우징을 정의하고, 종류 4가지를 쓰시오 지도사4회2번. 철골 가우징을 정의하고, 종류 4가지를 쓰시오 1. 정의 가우징(Gouging)이란 용접과 관련된 작업 중에 용접이 잘못되었거나 모재를 파내어야 할 경우에 사용하는 방법 2. 종류 ① 공기 탄소아크 가우징(Air Carbon Arc Gouging) -탄소와 흑연으로 된 Cabon Gouging Rod를 전극으로 사용 -이 전극과 모재사이에 발생하는 Arc의 고온열로 모재를 순간적으로 녹이고 동시에 압축 공기의 강한 바람으로 용해된 금속을 불어냄 ② 금속 아크 가우징(Metal Arc Gouging) ③ 산소 가우징 ④ 플라즈마 아크 가우징(Plasma Arc Gouging) 3. 가우징 용도 ① 금속의 절단 ② 홈파기 4. 가우징시 유의사항 ① 콘크리트와 같이 견고한 바닥에 습기나 먼지 ..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4회1번. 기대기 옹벽의 종류와 안전성 검토항목 5개를 쓰시오 지도사4회1번. 기대기 옹벽의 종류와 안전성 검토항목 5개를 쓰시오 1. 정의 깍기 비탈면에서 표면의 탈락으로 불안정해진 구간이나, 장기적으로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있는 비탈면 표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자중으로 비탈면을 안정화시키는 옹벽 2, 기대기옹벽 종류 1) 보강토옹벽 2) 돌망태옹벽(개비온) 3) 중력식옹벽 - 합벽식 - 계단식 3. 안전성 검토항목 1) 옹벽의 전도파괴 2) 옹벽의 활동파괴 3) 옹벽의 지지력파괴 4) 기대기 옹벽 자체의 파괴(전단파괴) 5) 기대기 옹벽 자체의 파괴(모멘트파괴) 4. 검토 시 적용 안전율 구분 검토항목 평상시 비고 외적 안정 활동(sliding) 1.5 전도(overturning) 1.5 지지력(bearing capacity) 2.5 기대기 옹벽 자체의 파괴 2..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5회9번. 터널 갱구부의 기능과 붕괴원인 및 안전대책을 쓰시오 5-9. 터널 갱구부의 기능과 붕괴원인 및 안전대책을 쓰시오 1. 정의 (1) 갱구부는 일반적으로 갱문구조물 배면으로부터 터널길이 방향으로 터널직경의 1∼2배 범위 또는 터널 천장부로부터 토피고 3∼5m에서 터널직경 1.5배의 토피고가 확보되는 범위까지로 정의한다. 단, 원지반 조건이 양호한 암반층 또는 붕적층, 충적층 등의 연약토 사층에서는 별도의 구간을 갱구부 범위로 정의할 수 있다. (2) 갱구부는 터널 본선부와는 달리 지형, 기상, 입지조건, 근접시설물 등의 외적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구조 및 시공법을 선정해야 한다. (3) 갱구부의 설계에는 아래의 사항들을 검토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고 환경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① 갱구의 위치 및 설치방법 ② 갱구부의 범위 ..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5회8번. 안전모의 종류를 구분하여 설명하고, 사용 시의 유의사항과 성능 시험방법들을 쓰시오 5-8. 안전모의 종류를 구분하여 설명하고, 사용 시의 유의사항과 성능 시험방법들을 쓰시오 근로자가 취업에 종사하는 업무에 있어서 위로부터 비래하는 물건, 낙하물에 의한 위험성을 방지하고, 하역작업 시에는 추락에 의한 머리부위에 상해를 방지하고, 전기공사시에는 감전예방을 위해 머리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모자를 칭한다. 1. 안전모의 선정방법 ① 머리부위에 가해지는 위험성에 따라 작업에 맞는 용도의 것 ② 규격에 일치하고 검정합격 표지가 부착된 것 ③ 머리에 잘 맞고 가볍고 성능이 좋은 것 2. 안전모의 사용방법 ① 바르게 착용하고 턱 끈은 확실하게 조일 것 ② 1회라도 충격을 받은 것은 폐기할 것 ③ 어떤 이유라도 모체에 흠집을 만들지 않을 것 ④ 착장체는 수시 세척해 청결하게 유지하고, 정해진 시기에 ..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5회7번.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타워크레인을 자립고 이상의 높이로 설치하는 경우에 다음 지지망법별 준수사항을 쓰시오 5-7. 산업안전보건법령상 타워크레인을 자립고 이상의 높이로 설치하는 경우에 다음 지지망법별 준수사항을 쓰시오 1) 벽체에 지지하는 방법 2) 와이어로프로 지지하는 방법 1) 벽체에 지지하는 방법 제142조(타워크레인의 지지) ① 사업주는 타워크레인을 자립고(自立高) 이상의 높이로 설치하는 경우 건축물 등의 벽체에 지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지지할 벽체가 없는 등 부득이한 경우에는 와이어로프에 의하여 지지할 수 있다. ② 사업주는 타워크레인을 벽체에 지지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1.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58조의4제1항제2호에 따른 서면심사에 관한 서류(「건설기계관리법」 제18조에 따른 형식승인서류를 포함한다) 또는 제조사의 설치작업설명서 등에 따라 설치할 것 2. ..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