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gead/js/adsbygoogle.js">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5회9번. 터널 갱구부의 기능과 붕괴원인 및 안전대책을 쓰시오
본문 바로가기

취미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5회9번. 터널 갱구부의 기능과 붕괴원인 및 안전대책을 쓰시오

5-9. 터널 갱구부의 기능과 붕괴원인 및 안전대책을 쓰시오

 

1. 정의

(1) 갱구부는 일반적으로 갱문구조물 배면으로부터 터널길이 방향으로 터널직경의 12배 범위 또는 터널 천장부로부터 토피고 35m에서 터널직경 1.5배의 토피고가 확보되는 범위까지로 정의한다. , 원지반 조건이 양호한 암반층 또는 붕적층, 충적층 등의 연약토 사층에서는 별도의 구간을 갱구부 범위로 정의할 수 있다.

(2) 갱구부는 터널 본선부와는 달리 지형, 기상, 입지조건, 근접시설물 등의 외적조건에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구조 및 시공법을 선정해야 한다.

(3) 갱구부의 설계에는 아래의 사항들을 검토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고 환경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갱구의 위치 및 설치방법

갱구부의 범위

갱구부의 굴착공법, 지보구조, 보조공법과 콘크리트라이닝 구조

갱구비탈면의 안정검토와 필요한 사면 안정공법

갱구비탈면의 지표수 및 지하수 배수 대책

기상재해의 가능성과 필요한 대책공법

갱구주변의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2, 기능

터널을 시공하는 동안 갱구부 사면에서 발생되는 낙석이나 유실된 토사 등으로부터 터널내 시설물 등을 보호하며 안전사고 방지

기상변화 및 시간 경과에 따른 터널 단부의 붕락 방지 및 눈, , 모래 등 이물질이 터널내에 설치된 시설물 (공사중 조명, 공사중 배수 및 환기시설)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보호하는 효과 등)

 

3. 붕괴원인 및 안전대책

  편토압

1)문제점

.변위 및 붕괴

.침하, 전도 라이닝 균열

2)대 책

. 가급적 편토압이 적게 작용되도록 터널축선을 선정함

(1)경사면 직교형 : 가장 이상적

(2)경사면 경사교차형 : 비대칭 경사면 발생으로 편토압 검토 필요함

(3)골짜기 진입형 : 편토압은 적으나 퇴적층, 지하수유입을 고려해야함

(4)능선 평행형 : 바람직함

(5)경사면 평행형 : 편토압이 크게 될 수 있음

 

. 편토압 경감 및 보강

(1)압성토

(2)Rock Bolt

 

사면안정

1) 문제점

. 사면활동으로 교통차량 피해, 통행지장 발생

. 갱문 터널의 변위, 붕괴 발생

. 사면활동은 피해가 크고 보구가 어려우므로 사전 검토가 중요함

2) 대 책

. 지표지질조사, 시추, 물리탐사로 지층상태 파악이 중요하며 토사 및 암반사면으로 구분해서 안정성 검토 필요함

. 구배완화방법 : 가장 바람직:대절토가 되므로 장대사면 발생으로 미관, 중압감, 환경훼손에 유의

. 돌출식 갱문구조 : 사면안정, 미관, 자연과 조화에 유리함

터널연장이 길어지며, 성토필요하며, 시공이 복잡함

. 보강방법 : shotcrete, Rock bolt, soil nailing Rock Anchor

 

시공중 붕괴 및 터널구조물로의 안정성 확보

1) 문제점

. 갱구부는 경사지형, 붕적토, 토사및 풍화암지역, 균열발달 암반, 지하수 유입등 조건이 열악함

. 토피가 적어 그라운드 아치 형성이 어려움

. 지진시 피해가 큼

. 온도변화로 결빙, 건조수축 균열이 발생하기 쉬움

2) 대 책

. 굴착방법

(1)Ring Cut (2)중벽분할 (3)측벽도갱

. 지보

(1)갱구부 해석결과에 따라 강지보공, 록볼트, 숏크리트 재원을 적정하게함

(2)Forepoling을 기본으로 하고 차수 및 보강이 필요시 강관다단그라우팅과 같은 보강대책을 강구함

(3)Lining콘크리트 : 철근 콘크리트로함

(4)숏크리트 : 강섬유보강 숏크리트로함

(5)포장 : 입출구 50m는 도로 본선과 같은 동상방지층 두께로 함

 

갱문검토

1)개 요

. 터널의 갱문은 터널본체보다 토피가 적고, 토사 또는 풍화암인 경우가 많으며 절토로 인한 비탈면이 생기므로 변형 또는 붕괴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음

2)발생조건

. 갱구부 사면활동 나.지지력부족의한 침하 다.편토압 발생 라.지진시 터널내외부의 변위양상

3)발생현상

. 부등침하 : 골짜기 쪽 침하,상부균열

. 편압에 의한 변형 : 튀어나옴, 균열

. 갱문 앞으로 기움 : 지내력없고 지지면적 부족

4)대책

. 갱문전도 : 사면안정성 확보, 록볼트, 록앙카, 소일네일링, 옹벽기초확대, 면벽식 보다 원통절개식으로 변경

. 부등침하 : 치환, 지반보강, 강지보공 보강, 인버트 설치

. 편 토 압 : 압성토, 록볼트, 소일네일링

. 지 진 : 철근콘크리트라이닝, 강섬유보강콘크리트, 지하배수시설

5) 터널갱문부 설계기준검토(고속도로)

.교통소통, 경관조화,자연환경 해빙기, 집중호우시 낙성, 눈사태로부터 도로의 안전 도모

. 경제성 치중시 갱문부를 짧게 설계, 주변지반과 부조화, 대절토 근접으로 취약성 내포

. 갱문 상단부 토석붕괴와 유실발생시 완충공간의 협소, 노면상에 낙하될 우려 상존

. 낙석방지책, 파라페트는 갱구배면의 소규모 토석붕괴시에도 대처기능 결핍

. 면벽형의 경우 배면 U형측구 및 PE관 을 이용 지표수를 처리하도록 계획하고 있으나, 집중호우시 PE관 막힘, 배수용량부족으로 사면붕괴

1)기존터널 갱문부 문제점

.고속도로 획일적 면벽형과 원통절개식

. 경제성 중시로 갱문 상단부 과다절취

. 갱문 되메우기부 다짐 불량

. 원통절개형 갱문 상단 및 측벽 되메우기부 수해 취약성 내포

. 면벽식 갱문 진입부 중압감

. 터널 진입부의 스무스한 유도기능 미흡

2)대책

.갱구위치 선정

수로와 교차하지 말고 도로 중심선과 자연지형의 경사면이 직각 교차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함

. 가급적 교차각이 60도 이상

. 갱문형식 선정

배수기능, 낙석,산사태 발생 가능성, 자연지형과의 조화

갱구부 지형여건

. 갱구부 절취 최소화

환경정책 갱구사면부 안정성 확보위해 갱구상단부 토피가 3-5m확보되는 지의 여부검토요망

. 갱구부의 토질여건상 토피 5m이내에서 갱구형성이 어려울 경우는 별도 검토결과에 따라검토

. 토사부 등 일정구간 지반보강후 굴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