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gead/js/adsbygoogle.js"> '취미' 카테고리의 글 목록 (9 Page)
본문 바로가기

취미

(74)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 8회1번 철골건립 작업 시 철골승강용 트랩의 안전대책 5가지를 쓰시오. 8-1. 철골건립 작업 시 철골승강용 트랩의 안전대책 5가지를 쓰시오. 1. 승·하강용 트랩(Trap) 사용 작업 중 위험요인 ● 안전모, 안전대를 미착용하고 승·하강용 트랩 승강 중 실족하여 떨어짐. ● 트랩의 용접 부위가 탈락되어 떨어짐. ● 악천후 시에 승·하강용 트랩을 따라 승·하강 중 떨어짐. ● 승·하강용 트랩이 미설치되어 사다리를 이용하여 철골 기둥에 승강 중 떨어짐. ● 승·하강용 트랩 발판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서 승·하강 중 실족하여 떨어짐. ● 철골 기둥 세우고 승·하강용 트랩 설치하려다가 떨어짐. ● 철골 기둥 주변에 추락방호망 미설치로 승·하강 중 떨어짐. ● 승·하강용 트랩 주변에 불안전하게 설치된 가설계단을 따라 올라가던 중 떨어짐. ● 안전대 걸이시설 미설치로 안전대를 걸지 않..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 2차9회9번. 최근 심각하게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건설현장 옥외작업자 9-9. 최근 심각하게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건설현장 옥외작업자의 시야 미확보, 장시간 노출시 중작업(重作業)근로자의 안전 위협, 건설 기계․기구 오작동 등에 따라 건설현장별 안전대응 매뉴얼이 필요하게 되었다.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른 경보 발령기준 2) 건설현장의 3단계별 미세먼지 예방조치 [건설안전기술사 기출 : 118-2-4 옥외작업자를 위한 미세먼지 대응 건강보호 가이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옥외작업자를 위한 미세먼지 대응 건강보호 가이드 2019. 1. 고용노동부 사전준비 주의보 경보 기준 PM2.5 75 ㎍/㎥ 이상 또는 PM10 150 ㎍/㎥ 이상 PM2.5 150 ㎍/㎥ 이상 또는 PM10 300 ㎍/㎥ 이상 예보 기준 ~나쁨 매우나쁨 조치 사항 ■ 민감군 사전..
산업안전지도사 2차9회8번. 도심지 건설공사 중 탑다운(top down)공법에 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9-8. 도심지 건설공사 중 #탑다운(top down)공법에 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공법의 장점 3가지 2) 공법의 종류 3가지 3) 작업공종 5가지와 각 공종별 안전관리요인 1가지씩 1. 흙막이벽을 구조체로 시공한 다음 점차 지하로 진행하면서 동시에 지상구조물을 축조해 가는 것으로 안전관리에 유의해야 하는 공법] 답] 개 념 탑다운(Top-down) 공법은 흙막이벽으로 설치한 슬러리 월을 본 구조체의 벽체로 이용하는 공법으로, 기둥과 기초를 시공한 다음, 점차 지하로 진행하면서 동시에 지상구조물도 축조해가는 공법입니다. 공기단축을 실현시키고 안전성과 경제성 증대 효과를 위해 고안된 공법인데요, 영국의 Mr.Arup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국내에는 1984년「럭키 금성 다동빌딩」에서 본격적으..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9회7번. 건설구조물의 부등침하(부동침하, uneven settlement)에 관하여 다음 사항을설명하시오. 9-7. 건설구조물의 부등침하(부동침하, uneven settlement)에 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구조물의 손상 유형 3가지 2) 구조물의 손상 원인 5가지 3) 방지대책 5가지 1) 개요 기초지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서 불균등 침하가 발생하는 현상 2) 발생원인(손상원인) (가) 이질지반 (나) 지지력 부족 (다) 연약지반 (라) 경사지반 (마) 다른기초 (바) 지하수위 변동 (사) 증축 3) 부동침하 문제점(손상유형) (가) 상부 구조물의 균열 (나) 지반의 침하 (다) 구조물의 누수 (라) 단열 및 방습기능의 저하 4) 부동침하 방지대책 (1) 상부구조에 대한 대책 - 건물의 경량화 - 건물 평면길이 짧게 - 건물 강성을 증대 - 인접 건물과의 이격거리 증대 - 건물 중량배분 고..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9회6번. 건설공사용 차량계 고소작업대에 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9-6. 건설공사용 차량계 고소작업대에 관하여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작업 시 재해 유형 4가지와 각각의 유형에 따른 원인 1가지씩 2) 설치 시 기준 5가지 3) 이동 시 기준 3가지 [기출 배포자료 : 11-3-5. 고소작업대 관련 법령(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규칙) 기준)과 재해발생 형태별 예방대책 제4관 고소작업대 제186조(고소작업대 설치 등의 조치) ① 사업주는 고소작업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것을 설치하여야 한다.(설치 시 기준) 1. 작업대를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으로 올리거나 내릴 경우에는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이 끊어져 작업대가 떨어지지 아니하는 구조여야 하며,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의 안전율은 5 이상일 것 2. 작업대를 유압에 의해 올리거나 내릴 경우에는 작업대를..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 2차9회5번. 대규모 암반 비탈면활동 검토방법 3가지를 쓰시오. 9-5. 대규모 암반 비탈면활동 검토방법 3가지를 쓰시오. 암반사면의 안정해석법과 안정대책법 1. 정의 1)암반사면의 붕괴형태는 사면 발달 불연속면의 발달상태에 따라서 원형파괴, 평면,쐐기,전도파괴 2)암반사면의 사면안정 검토는 암석의 강도에 의해 하는 것보다는 불연속면의 발달상태를 조사하여 판단 3)암반사면의 안정해석법은 본래 응용지리학 분야에서 노천굴 광산의 굴착법면에 대한 암반의 안정을 검토하기 위해 주로 스테레오투영법을 적용한 기하학적해석방법으로 발전되어 왔으나 근래의 Hook-Bary등의 공헌에 의한 암반의 불연속면을 대항으로 한 구조적해석을 널리 활용되기에 이르렀다 2. 암반사면의 파괴형태 1)파괴형태는 가장 취약한 불연속면의 주향 및 경사도에 따라 결정 2)파괴형태(원-간계토 평-주경 쐐-예..
산업안전지도사 2차9회4번. 건설공사 현장에서 공사 전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전작업허가서 (permit to safety work)를 작성해야 하는 작업종류 5가지를 쓰시오. 9-4. 건설공사 현장에서 공사 전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전작업허가서 (permit to safety work)를 작성해야 하는 작업종류 5가지를 쓰시오. [기존배포자료 : 13-1-2. 사전작업허가제(Permit to work)] PTW로 현장에서 불리는 사전작업허가제는 위험도가 높은 작업이 진행될 경우에 발주자나 원청사 또는 해당 안전팀 등에 미리 작업에 대한 안전조치 등을 확인받은 이후에 작업을 시작하도록 하는 관리방법이다. 사고의 위험이 높은 작업환경과 요소에 미리 조치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는데 실제 현장에서 이 관리방식에 불만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현장의 불만을 살펴보면 첫째는 실제 작업준비 상황 등을 점검하지 않은 채 서류만 만들어내는 형식적이고 불..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 2차 9회3번. 건설현장에서 근로자가 상시 작업하는 장소의 작업면 조도(照度)기준 4가지를 쓰시오. 9-3. 건설현장에서 근로자가 상시 작업하는 장소의 작업면 조도(照度)기준 4가지를 쓰시오. 1.작업장 1)상시 작업장소 ; 초정밀 750Lux/ 정밀 300Lux/ 보통 150Lux/ 기타 75Lux이상 2)터널 ; 막장 60Lux/중간 50Lux/입구 30Lux 대경 안전지도사 재해예방 기술지도 엄익주 대구 경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