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사4회9번. 고층건물의 가설계획 수립시 타워크레인의 설치위치를 구분하고 각각에 대한 안전대책을 쓰시오
1., 타워크레인 정의
기초부, 마스트(Mast), 텔레스코픽 케이지(Telescopic Cage), 턴테이블, 운전실, 지브(Main Jib, Counter Jib)로 구성되며 지브에 설치된 트롤리의 후크에 양중물을 매달아 전, 후, 상, 하로 움직이는 동작과 크레인 상부 전체 회전동작을 통해 현장 내 자재의 수직, 수평 운반 및 이동을 담당하는 장비를 말하며, T형 타워크레인과 Luffing형 타워크레인이 있으며, 설치방법에 따라 고정식, 상승식 및 주행식으로 분류하며 주로 건설 현장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용어의 정의
1) "고정식 타워크레인"이라 함은 콘크리트 기초 또는 고정된 기초 위에 설치된 타워크레인을 말한다.
2) “텔레스코핑(Telescoping) 작업”이라 함은 마스트를 연장 또는 해체작업을 하기위해 유압장치 및 실린더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3) “텔레스코픽 케이지(Telescopic cage)”라 함은 마스트를 연장 또는 해체작업을 하기위해 유압장치 및 실린더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의 마스트를 말한다.
4) “정격하중”이라 함은 타워크레인의 권상하중에서 훅, 그래브 또는 버킷 등달기기구의 하중을 뺀 하중을 말한다.
5) "권상하중"이라 함은 타워크레인이 지브의 길이 및 경사각에 따라 들어 올릴 수 있는 최대의 하중을 말한다.
6) "횡행"이라 함은 대차 및 달기기구가 지브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7) "자립고"라 함은 보조적인 지지․고정 등의 수단 없이 설치된 타워크레인의 마스트 최하단부에서부터 마스트 최상단부까지의 높이를 말한다.
8) “순간풍속”이라 함은 하루 중 바람이 순간적으로 가장 세게 불었던 때의 풍속을 말한다.
3. 타워크레인 종류
1) Boom 작동방식에 따른 구분
① T형 타워크레인
트롤리와 후크가 부착된 Main Jib와 무게중심을 유지하는 Count Jib가 Mast에 거의 수평으로 설치(T자형)되며, 트롤리 작업반경내 간섭되는 건물이나 현장주변에 민원발생 소지가 없을 경우에 주로 설치된다.
② Luffing형 타워크레인
지브를 상하로 기복시켜 화물을 인양하는 형식으로 작업반경내 간섭물이 있거나 민원발생 소지가 있을 경우 주로 설치하며 T형 타워크레인에 비해 작업 속도가 느린 편이다
2) 설치형식에 따른 구분
① 고정식 타워크레인
콘크리트 기초에 고정된 앵커와 타워의 부분들을 직접 조립하는 형식이다.
② 상승식 타워크레인
일정 높이 만큼 층이 올라가면 건물의 구조체에 지지하여 타워크레인의 몸체가 건물과 같이 따라 올라가는 형식, 주로 고층건물에서 사용, 해체작업에 불리하다.
③ 주행식 타워크레인
레일을 설치하여 타워크레인 자체가 레일을 타고 이동하며 작업하는 형식, 층고가 낮고 길이가 긴 건물 등에 설치한다.
3) 설치 위치에 따른 구분
① Internal Type
건물내부에 설치, Climbing Type으로 설치되어 초고층 건축물에 주로 사용
‥Luffing Crane ‥Climbing Type
② Rxternal Type
일반적인 형태로 건물 외부에 설치
‥T-Type Crane ‥Luffing Type Crane ‥Railway Type Crane ‥Jib Crane
4) 특수장비
Jib Crane : 소형크레인으로 기초의 타설이 불필요하며 양중능력이 작다. 크레인 해체시 사용
4. TOWER CRANE 설치전 준비사항
1) 기종의 선정
타워크레인의 제원표를 참고하여 현장여건에 맞는 Jib length, Tip load, Max load등을 고려하여 기종을 선택한 후 선정 기종에 대한 시중장비 임차료 및 임차조건 확인
2) 설치방법의 검토
고정형(STATIONARY TYPE), 상승형(CLIMBING TYPE), 이동형(TRAVELLING TYPE) 중 설치방법을 검토하여 채택
3) ANCHORING 위치의 선정
고정형(STATIONARY)의 경우는 ANCHORING의 위치가 대단히 중요하다. 이는 타워크레인의 작업반경 및 인양능력에도 관계가 있지만, 작업 완료후 원만한 해체를 위하여 주변의 장애물 및 해체장비의 작업위치, 운반장비의 투입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4) 인입전원
제원표를 참고하여 기동 전력을 감안, 충분한 수전을 받아야 하며 MAIN CABLE은 필히 타워크레인용 단독선으로 가설해야 하며 CABLE이 길 경우 전압 강하를 감안한 CABLE 선정도 중요하다.
공사도중 용접기, 콤프레샤, 전등 등이 타워크레인 전원에서 연결하여 사용되지 않도록 처음부터 계획을 잡아야 한다.
전압은 440V로 공급받는 것이 좋으며 220V, 380V인 경우에는 TRANSFORMER를 준비해야 한다.
5) 기초 ANCHORING 및 CON'C BLOCK 제작
고정형의 경우 MANUAL을 참고하여, 작업 SCHEDULE을 작성한 후 안전하게 설치해야 한다. 특히 지압(GROUND PRESSURE)이 2kg/cm2 이상 나오지 않을 경우 CON'C PILE을 규정에 의거 항타한 후 제하시험을 하고 그 위에 CON'C BLOCK을 설치 고정시켜야 한다. 철근 및 FIXING ANCHOR 하단부에 받침 STEEL ANGLE은 사전에 준비해두고 철근과의 결속도 튼튼하게 해야하며, CON'C 양생기간은 최소한 7일~10일 정도는 되어야 한다
6) 레미콘의 선정
FIXING ANCHOR용 CON'C BLOCK의 CON'C는 강도 255kg/cm2 이상이어야 한다.
7) 기타
타워크레인은 풍속 45KM/H(LIEBHERR), 60KM/H(POTAIN) 이상일 경우 이 설치 작업을 중단해야 한다.
'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2번. 철근의 인장강도 시험으로 얻어지는 응력-변형률 곡선 (0) | 2020.07.29 |
---|---|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3회1번.건설공사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비계의 장․단점을 쓰시오 (0) | 2020.07.29 |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4회8번. 도로터널에서 화재예방 안전관리상 필요한 방재시설을 5가지로 분류하고 그 내용을 쓰시오 (0) | 2020.07.21 |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4회7번. 건설현장에서 사용하는 차량계 건설기계의 종류, 재해유형 및 안전대책에 대하여 쓰시오 (0) | 2020.07.21 |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4회6번. 건설현장의 밀폐공간 작업 시 사전안전조치 사항 및 재해예방대책을 쓰시오 (0) | 2020.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