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2차 4회3번. 토공작업시 흙의 상태에 따른 토량환산계수와 토량변화율에 대하여 쓰시오
대경안전지도사
2020. 7. 19. 18:36
지도사 4회3번. 토공작업시 흙의 상태에 따른 토량환산계수와 토량변화율에 대하여 쓰시오
1. 개 요
건설공사에서 깍기, 쌓기 및 흙운반의 토공작업은 공사 목적물을 설치하기 위해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공종이다.
그러나 지반은 오랜세월 퇴적 또는 형성된 원지반 상태와 이를 굴착하여 흐트러진 상태, 교통하중 등 상재하중에 대해 지탱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다져진 상태 등 굴착에서 운반, 다짐까지 토량이 변화하므로 토량환산계수 등을 적용하여 가중치를 두어 경비를 계산하거나 토량변화율로 흙이 남거나 부족한 상태인가를 판별한다.
2. 토량환산계수(f) : 토량 작업시 기준이 되는 흙의 상태로 환산한 값
1) 굴착, 적재, 운반 토량 : 흐트러진 상태의 토량
2) 토공 장비의 작업량 계산 : 흐트러진 상태의 토량
3) 성토량 계산 : 다져진 상태의 토량
3. 토량변화율(C. L) : 자연상태를 기준으로 다져진 상태와 흐트러진 상태의 토량 체적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