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gead/js/adsbygoogle.js">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 2차 7회 2번. 교각 시공 후 교각 위에서 이동식 거푸집 작업차(Form Traveller)를 이용하여 교각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을 유지하면서 상부구조를 전진 가설애 나가는 교량..
본문 바로가기

취미

산업안전지도사(건설안전) 2차 7회 2번. 교각 시공 후 교각 위에서 이동식 거푸집 작업차(Form Traveller)를 이용하여 교각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을 유지하면서 상부구조를 전진 가설애 나가는 교량..

7-2. 교각 시공 후 교각 위에서 이동식 거푸집 작업차(Form Traveller)를 이용하여 교각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을 유지하면서 상부구조를 전진 가설애 나가는 교량건설공법을 쓰시오

 

1. 개요

-FCM 공법(Free Cantilever Method)은 교량의 시공 방식 중 하나

-교량 하부에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고 거푸집 작업차(Form Traveller)특수한 가설장비를 이용하여 각 교각으로부터 좌우의 평형을 맞추면서 세그먼트를 순차적으로 접합하는 방식으로 경간을 구성하면서 인접한 교각에서 만들어져 온 세그먼트와 접합하는 방식의 시공법이다.

 

2. 연혁

1)이 공법은 1950년대 초반 독일의 Dyckerhoff & Widman사에 의해 Dywidag공법이 시초

2)대한민국에서는 주로 고속도로의 교량들이 이 방식에 의해서 건설되는 경우가 많음. 또한 한강 횡단교량인 원효대교가 최초에 건설

3)이후 많은 교량들이 이 방법을 적용하여 건설되었으며, 익산 포항 고속도로의 만덕교(설계 당시의 이름은 신촌교였다)가 국내 최대 경간장인 170m로 가장 긴 경간장을 가지고 있음

4)세계 최대 경간장은 1998년에 준공된 노르웨이의 Stolmasundet교로 경간장은 301m에 달한다.

 

3. 시공 개요도

 

4. 특성

1) FSM 공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먼 교간장까지 커버가 가능

2) 현장타설 FCM의 경우 80250m Precast Segment 방식에서는 40150m 사장교의 경우는 400m를 넘는 거리도 가능

3) 적용 조건은 다음과 같다.

-경간의 무게를 견디는 동바리의 설치가 어려운 경우에 해당

-난이도가 있는 공사에 주로 적용

-해상 구간으로 선박통행을 허용하거나, 수심이 깊을 경우, 또는 홍수의 위험이 클 경우, 깊은 계곡 통과, 건물, 주거지, 도로, 철도등을 횡단하는 장경간 교량기반 조건이 교각 기초에 적당치 않을 경우, 기타 조건으로 동바리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

 

5. 공법의 종류

1) 현장타설 캔틸레버 공법

2)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공법

 

6. 교량의 구조형식

1) 라멘교 형식

- 힌지식

- 게르버식

- 연속보식

2) 연속교형식

3) 라멘연속교형식